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거리두기 4단계 (개편안 총정리)

by leaf0916 2021. 7.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루잎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하고, 벌써 5일이나 지났습니다.

 

이제, 앞으로 어떻게 계속 진행해야 하고, 짚어볼까요?

 

 

거리두기 4단계 - 전환기준

(인구 10만 명이 인구 10만 명당 주간 하루 평균 환자 수 4명 이상으로 전국 2074명 이상일 경우

(인구 10만 명 이하) 지역 내 주간 총 환자 수 20명 이상일 경우

 

거리두기 4단계

 

거리두기 4단계-다중이용시설 관리

-이용인원은 시설면적 8제곱미터당 1명(기본)으로 인원 제한이 되고,

운영시간은 다중이용시설 2,3그룹은 모두 22시 이후 운영 제한이 되며,

집합 금지는 유흥시설, 콜라텍, 무도장, 됩니다.

 

 

거리두기 4단계-일상 및 사회, 경제적 활동

(모임) 18시 이후에는 2명까지는 사적 모임이 가능하며 금지됩니다

-18시 이전에는 3단계 조치와 동일하게 4인까지는 사적 모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아래 사항에 대해서는 사적 모임의 예외가 적용됩니다.

1. 동거가족, 돌봄(아동, 노인, 장애인 등) 임종을 지키는 경우

 

2. 스포츠 영업시설(경기구성을 위한 최소인원이 필요한 스포츠), 단, 경기인원의 1.5배(예:풋살 15명) 초과 금지하여야 합니다.

행사 집회-행사금지 및 외 집회 금지

-기업으 ㅣ필수 경영활동 및 공무에 필요한 경우는 기본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인원 제한은 없이 개최 허용합니다.(예:기업 정기주주총회, 예산, 법안 처리 등을 위한 구 회 회의, 방송제작, 송출, 졸업식, 입학식 등)(스포츠

 

 

(종교활동) 비대면 종교활동만 가능하고, 모임, 행사, 식사, 숙박 금지합니다

-무료급식, 공부방 등 취약계층 등 돌봄 활동 운영 가능(무료봉사)

(전시회, 박람회) 시설 면적 6제곱미터당 1명

 

 

거리두기 4단계 /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유치원과 모든 초, 중, 고교는 전면 원격수업에 들어가게 됩니다. 어린이집은 휴원 한다고 합니다.

학원은 좌석, 두 칸 띄우기 혹은 시설면적 6제곱미터당 1명을 지켜야 하며, 기숙학원은 원래 운영 금지가 원칙이지만, 입소 전에는 코로나 검사하고 입소 후 1인실 사용하거나 대면 수업을 운영이 가능하게 됩니다. 학원은 22시 이후 운영이 제한된다고 합니다.

 

 

거리두기 4단계 / 모임, 직계가족, 가족모임

오전 5시-오후 6시는 4명, 오후 6시~다음날 합니다.

이는 동거가족을 제외한 직계가족의 모임에도 적용된다고 합니다. 제사나 상견례도 안됩니다.

다만 돌봄(아동, 노인, 장애인), 임종을 지키는 경우에는 예외로 인정된다고 합니다.

백신 접종 완료자도 합니다.

백신 접종을 했다고 하여도 안심하지 마시고, 불필요한 모임이나 약속, 외출 등을 최대한 줄이시고, 집에

 

 

 

 

 

 

 

거리두기 4단계/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

시설면적 8제곱미터당 6제곱미터당 1명)을 유지해야 하고,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샤워실은 운영 금지해야 하며, 시설 내 머무는 시간은 최대 2시간이 넘지 않도록 합니다.

그리고 22시 이후에는 운영이 전면적으로 운영이 제한된다고 합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헬스장은 6km 이하를 합니다.

체육도장은 상대방과 직접 접촉이 일어나는 운동은 금지되어야 하며, 탁구는 탁구대 간격을 2미터를 유지하고, 복식경기 및 대회가 금지된다고 합니다.

 

거리두기 4단계 / 개인 방역 5대 중요 수칙

-마스크 착용하기, 거리두기

-아프면 검사받고, 집에 머물며 타인과 접촉 최소화

-30초 손 씻기, 기침은 옷소매로 막기

-최소 1일 3번 이상 환기하고, 주기적으로 소독해야 함

-거리는 멀어져도 마음은 가까이

 

 

거리두기 4단계/ 집단 방역 5대 중요 수칙

-공동체가 함께 노력하기

-공동체 내 방역관리자 지정하기

-공동체 방역지침 만들고 준수하기

-방역관리자는 적극적으로 역할 수행

-공동체의 책임자와 구성원은 방역관리자에게 적극 협조하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