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동지, 팥죽먹는 이유와 유래에 대한 정리

by leaf0916 2021. 12. 23.
반응형

 

한국의 명절인 동지에 한국인들은 왜 팥죽을 먹는지에 대한 이유와 유래, 동지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와 만들어진 이유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동지의 개요>

우리나라는 24절기로 나누어져있습니다. 24절기 중에 22번째로 대설과 소한 사이에 있는 절기로 동지를 이야기합니다. 24절기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라고 하는 황도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정해 지기 때문에 양력 날짜에 기인합니다.

 

 

동지는 태양의 황경이 270도인 날로서 대개 양력 12월 21일~22일무렵이 됩니다. 동지라는 이름을 자세히 보면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어서 기온이 뚝떨어지는데, 동지가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라고 부르고, 중순에 들면 ‘중 동지’ 하순에 들면 ‘노도잊’라고 나누어져 부르기도 합니다. 애동지에는 전해지는 풍습이 다를 때와는 다릅니다.

 

한국 동지의 유래>

‘동지’라는 말은 말그대로 ‘겨울에 이르렀다’ ‘겨울이 다됐다’ ‘겨울이 시작됐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북반구에서 가장 낮이 짧은 날이고, 그다음 날부터는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농업을 중시했떤 고대에서는 태양이 죽음에서 새로 태어나고, 양의 기운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보아 그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동지를 ‘작은 설’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매우 중요한 날이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정조 때는 홍석모가 지은 <동국세시기>를 보게 되면 동지를 ‘아세’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설에 버금가는 날’이라는 뜻입니다.

동지가 드는 달인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고 불리우는데, 아까 말했듯이 애동지, 중 동지, 노동지로 달리 불립니다

 

 

중국 동지의 유래>

중국 주나라 때에는 동지를 새해의 첫날로서 맞이하였고, <역경>이라는 책에서는 일 년의 첫날을 동지로 삼았습니다. 이런 전통은 당나라에도 이어졌고, 당나라의 역법서인 <선명력>에서도 이날을 기점으로 역을 헤아렸는데, 당나라의 역법을 받아썼던 우리나라의 고려시대까지도 동지를 새해의 첫날인 설로써 삼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전통은 고려말까지도 이어지고 원나라의 수시력을 받아들인 충선왕 때에 지금의 설날로 바뀐 것으로 추정됩니다.

 

동지의 풍속>

동짓날은 밤이 가장 긴 날이기 때문에 “호랑이가 장가가는 날”이라고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동지에는 팥죽을 끓여먹는 것이 고려 때부터 풍습이자 오랜 관습이었는데, <동국세시기>에 중국의 문헌에서 인용한 유래의 따르면, 옛날 중국 요순시대에 살았던 공공 씨라는 사람에게는 아들이 있었는데, 어려서부터 팥을 무서워했다고 합니다. 그 아이가 동지에 죽어서 전염병을 옮기는 귀신이 되었는데, 살아있을 때 가장 무서워했던 팥을 기억한 사람들이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이 귀신을 쫓아낸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애동지가 드는 해에는 동짓날에 팥죽을 먹지 않았는데, 아이 귀신을 물리치는 팥죽의 위력이 집안의 아이한테도 그 탈이 날까 봐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끓일 때 붉은 팥죽 국물을 떠서 집의 문 안팎 와 담장에 뿌려서 귀신을 쫓는 풍습이 있습니다. 

 

 

조선시대까지도 동지는 설날과 함께 공식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동지에는 중국에 예물을 갖다 바치는 동지사를 파견했으며, 관상감에서는 이날 새해 달력을 만들어서 왕에게 바쳤다고 합니다. 동짓날에는 눈도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새해에 풍년이 들것이라고 믿었으며, 날씨가 따뜻하게 되면 질병이 많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한국의 동지라는 절기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왜 동지에 팥죽을 먹는지에 대한 유래와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