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초급자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펀드의 구분과 정의를 알아보자

by leaf0916 2022. 1. 3.
반응형

 

 

오늘은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라는 말과 의미 그리고 두 가지를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알아보고 편드 투자를 해보도록 합시다.

 

일단 투자를 하시는 분들중에는 자신이 직접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자기가 직접 하기에 좀 어려움이 있거나, 지식이 부족해서 전문가에게 간접적으로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펀드의 정의

펀드에 관한 정의는 이전에 말씀드린 적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간단하게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펀드란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서 전문 운용기관이나 자산운용사 같은 전문가들에게 여러 자 산방식에 투자를 하는 것을 뜻합니다. 단순하게 말해서, 여러 사람들의 돈을 모아서, 그 돈을 전문가가 뿔려 주는 겁니다. 모아진 자금들은 투자자를 대신해서 운용해주고, 실적이 생기면 투자자들에게 그대로 돌려주는 것을 뜻합니다. 물론 그 이익에 관한 보수나 수수료를 투자자들에게 받게 되지요.

 

펀드의 종류

네이버에서 나오는 펀드의 종류들을 살펴보면,

  • 국내: 국내 주식형, 국내 주식혼합형, 국내 채권혼합형, 국내 채권형, 국내 부동산형, 국내 기타
  • 해외: 해외 주식형, 해외 주식혼합형, 해외 채권혼합형, 해외채권형, 해외 커머더티형(원자재). 해외 기타
  • 그 외: MMF, 절대 수익추구형

 

생각보다 이렇게 많은 펀드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만, 어떠한 국가에 투자를 했느냐에 따라, 그 펀드의 성질과 종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시면 아시겠지만, 종류는 많지만 대부분 주식형, 채권형, 부동산형 이렇게 크게 나눠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채권과 주식이 같이 혼합된 펀드가 혼합형 펀드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채권과 주식의 비중은 그 펀드를 담당하는 펀드매니저가 알아서 구성을 하는 것입니다. ETF를 포함하여 투자대상에 따라서 주식형 펀드, 패권형 펀드, 혼합형 펀드, 그리고 기타 펀드 등이 있습니다.

 

자산의 최소 60퍼센트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면 주식형 펀드이고, 자산의 최소 60퍼센트를 채권에 투자하면 채권형 펀드입니다. 하지만 주식 또는 채권형이 아닌 상품으로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비율이 60퍼센트 미만인 경우인 펀드는 혼합형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여기서 혼합형 펀드도, 그 비율에 따라서 주식혼합형이냐, 채권혼합형이냐로 구분이 될 수 있고, 국내의 펀드 상품들을 보면 대부분 혼합형의 비중이 높은데, 혼합형 펀드의 형태가 많은 것이 국내 펀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과 채권에 성질과 특성을 말씀드리고 정의를 내린 페이지도 있지만, 다들 아시는 것처럼 주식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이는 것이 채권이고, 그런 반면에 수익률도 그리 높지는 않을 수 있지만 안정적이기에 그러한 성향을 좋아하시는 분은 채권형 펀드에 투자하시는 것이 낫고, 안정적인 것보다는 조금 공격적으로 투자를 하고 싶고, 수익률도 좀 더 극대화하고 싶으신 분들은 주식형 펀드에 투자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런 특성이 있지만 사회나 아니면 경제에 따라서 주식형 펀드가 더 안정적일 수도 있는 법이고, 채권형 펀드가 더 위험할 수도 있는 것이니, 그것은 그때 그때 잘 체크해서 투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