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초급자

액티브 ETF와 인덱스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leaf0916 2022. 1. 5.
반응형

 

 

ETF의 종류 중에 액티브 ETF와 인덱스 ETF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각자의 특성과 성격들에 대해서 알아본 후 자신과 알맞은 주식투자에 대해 고민합시다

액티브 ETF란?

일단 액티브ETF란 말 그대로 조금 공격적으로 활발하게 ETF를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성장주를 적극적으로 공략하여 기존의 패시브형 ETF보다 초과수익을 얻도록 설계되는 ETF를 말합니다.

ETF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지수를 구성한 종목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만들어진 펀드로서 거래소에 상장하여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펀드형 주식입니다.

추종하는 인덱스를 따르도록 하는 ‘패시브’형이 기본적인 ETF의 형식이지만 2020년 미국 자산운용사인 아크 인베스트먼트사에서는 성장주를 적극적으로 매매하는 ‘액티브 ETF’를 처음 발매하였으며 이들 중 일부는 100퍼센트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고 합니다.

 

이에 2021년 5월 하순 국내 운용사들은 전기차, BBIG(반도체,배터리,인터넷,게임)이라던지, 신재생 에너지 등 유망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테마형 액티브 ETF들을 내놓아 관심을 많이 끌었습니다.

 

패시브 ETF란?

ETF는 일단 기본적으로 패시브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패시브 ETF는 일단 특정 목표를 설정한후에 그에 맞는 종목의 시장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시장 평균 수익률을 소극적으로 따라가면서, 지수 수익률을 달성하도록 운용되므로 변동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액티브 ETF는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수익율이 높은 종목을 선정하여 직접 운용하는 상품입니다. 펀드매니저의 판단에 따라서 평균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패시브 ETF보다 공격적인 운용전략을 쓰게 됩니다. 공격적인 만큼 높은 기대수익률이 장점이긴 하지만, 그와 반대로 위험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펀드매니저의 펀드 운용 실력이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자산 편입비중을 재조정하는 리밸런싱 주기가 짧고 시장을 읽고 수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액티브 ETF와 패시브ETF의 특징

당연하게 운용보수는 액티브ETF가 더 높습니다. 왜냐하면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려면 펀드매니저가 조금 더 생각하고 현재 시장을 좀 더 분석해야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매매도 잦아지고, 그렇다면 매매수수료가 늘어나기 때문에 펀드 운용비용도 많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는 다르게 국내에 상장된 액티브 ETF는 매일 종목 비중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패시브 ETF는 지수를 추종하는 소극적인 펀드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대신에 지수와 펀드 수익률 간 편차를 조정해주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지 않은 만큼 보수율이 저렴한 편입니다.

 

우리나라 국내 상장된 주식형 액티브 ETF 종류

  • 코덱스 혁신 기술테마 액티브
  • 타이거 AI코리아 그로스 액티브
  • 코덱스 K-이노베이션액티브

이렇게 3개뿐이지만 조만간 유망산업에 투자하는 테마형 액티브 상품이 추가 상장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